지난 시간 내림낚시의 전체적인 채비구성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내림낚시 찌맞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찌의 무게를 상쇄시키는 편납의 가감을 통하여 맞추는 것은 올림낚시와 비교했을 때 그리 다르지는 않지만, 정확한 수심측정이라고 하는 것이 큰 차이점이 될 수 있습니다. 찬찬히 따라오실 수 있도록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내림낚시찌의 목수
내림낚시찌의 경우 찌탑의 마디를 '목'이라고 합니다.
1목, 2목…
대부분의 내림찌는 13목 찌인데, 9목인 찌도 있고, 15목인 찌도 있습니다.
찌맞춤은 몸통과 찌다리를 포함한 찌 전체의 위에서부터의 1/3 지점에 맞추는 것이 밸런스가 좋습니다. 그 위치가 13목 찌의 경우 6~7목 부근입니다. 5목이 붉은색이고, 7목이 주황색인 경우가 많은데, 시인성이 좋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7목 찌맞춤을 많이 합니다.
빈바늘 찌맞춤과 수심측정 방법
내림낚시의 경우 찌의 예민성이 높기 때문에 바늘의 무게변화에도 찌의 목수 변화가 큰 낚시입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바늘까지 모두 달고 찌맞춤을 합니다.
찌맞춤 방법
찌맞춤의 방법은 대략적인 수심에서 찌를 더 내려서 진행을 하는데, 채비를 던졌는데 찌는 서지만,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둥둥 떠있다면 편납의 무게가 가벼운 것으로 다시 편납을 감아주시면 되고, 일반적으로 찌가 가라 않는다면 편납을 서서히 잘라서 맞추는 것입니다.
찌가 내려가는 속도를 보면서 편납을 가위로 잘라주면 되는데, 천천히 내려가는 속도와 기준목수인 7목이 나올 때까지 반복작업을 합니다. 앞서 바늘무게에도 찌의 변화가 심하다고 말씀드렸듯이 1목, 2목 정도가 나올 때부터는 편납을 아주 조금씩 잘라주어 7목에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7목에 맞았다면 낚싯대를 당겨도 보고, 밀어도 보고, 다시 던져도 보고 하여 7목의 변화를 체크하시면 1차 찌맞춤은 완성된 상태입니다.
수심측정 방법
지우개를 잘라서 많이 사용하기도 하지만, 고무찰흙과 같은 '수심측정고무'를 많이 사용합니다.
찌맞춤된 상태에서 수심측정고무를 일정량 떼어 내어 떡밥처럼 동그랗게 하여 양바늘을 끼우고 투척을 합니다. 수심측정고무의 무게가 있기 때문에 기준 목수인 7목보다 찌는 내려가게 되는데, 찌탑 끝부분이 수면과 어느 정도 일치할 때까지 수심측정고무를 가감하여 줍니다. 이를 찌탑의 부력을 상쇄시키는 '수심측정고무 만들기'라고 합니다.
정확히 만들었다면 물속의 채비의 상황은 찌, 편납, 목줄, 수심측정고무가 완전히 일직선이 된 상태로 물에 떠있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찌를 조금씩 올려서 1목이 나올 수 있도록 맞추어 줍니다. 한번 맞추었다고 끝내지 마시고, 상하좌우 투척하여 전체적인 물속 지면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는 채비를 꺼내어 낚싯대가 휘지 않는 선에서 찌를 원줄에 일치시켜 수면과 일치된 1목의 위치에 수심기억용 찌고무를 맞추어 줍니다.
찌높이 조정
수심측정까지 끝났다면 이제는 실전으로 찌를 올려 7목을 수심기억용 찌고무에 맞추어 줍니다. 이렇게 해주어야 기준목수인 7목이 물밖으로 나오고, 편납, 목줄, 짧은바늘이 일직선이 되면서 바늘이 바닥에 닿는 내림낚시가 되는 것입니다.
떡밥을 달아서 던지다 보면 원심력으로 인하여 수직입수가 아닌 약간의 사선입수가 나오기 때문에 찌가 조금 더 잠길 수 있는데, 수직입수에 대한 노력은 투척 후 낚싯대를 몸 쪽으로 당겨 원줄을 잡아주고, 찌가 설 때 다시 낚싯대를 내려놓아 사선의 편차를 줄이는 방법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민물 내림낚시 - 전체적인 채비 구성 방법
내림낚시 준비물은 모두 준비하셨나요? 오늘은 준비된 채비를 활용하여 내림낚시채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올림낚시채비 구성해 보셨던 분이라면 별반 다르지 않다고 느끼
petitbonhe.tistory.com
민물 내림낚시 - 편납홀더, 도래, 목줄 선택 방법
지난 시간 내림낚시 장비 중 낚싯대, 원줄, 찌에 대하여 소개해 드렸습니다. 장비마다 재질, 호수 말씀드리니 너무 복잡한 것 같으시죠? 올림낚시 처음 하셨을 때 어떠셨나요? 똑같습니다. 단지
petitbonhe.tistory.com
민물 내림낚시 - 낚싯대와 찌, 원줄 선택 방법
지난 시간 내림낚시의 기본개념과 올림낚시와의 차이점, 용어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내림낚시가 올림낚시와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조금은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찬찬히 장비들부터 알
petitbonhe.tistory.com
오늘은 내림낚시 찌맞춤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조금 상세하게 설명드리다 보니 내용이 조금 많아졌습니다. 최대한 물속의 상황까지 고려하여 상세하게 설명드렸으니, 처음 한 번으로 이해하려 하지 마시고, 2~3번 읽어 보시고,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항상 안전하고 즐거운 낚시 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페티보나였습니다.
'Fis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물 내림낚시 - 채비 관리 및 점검 (1) | 2023.05.14 |
---|---|
민물 내림낚시 - 상황에 따른 찌맞춤 변형과 대처방법 (1) | 2023.05.13 |
민물 내림낚시 - 전체적인 채비 구성 방법 (0) | 2023.05.10 |
민물 내림낚시 - 편납홀더, 도래, 목줄 선택 방법 (1) | 2023.05.09 |
민물 내림낚시 - 낚싯대와 찌, 원줄 선택 방법 (1) | 2023.05.08 |
댓글